철학, 과학, 역사, 인류학, 우주론을 넘나드는 학제 간 연구의 집대성!
★★ TED 2,300만이 주목한 《빅 히스토리》 저자 최신작
★★ 아마존 과학 분야 베스트셀러
북라이프
인류는 미래를 어떻게 상상하고 대비해왔는가?
그리고 지구와 우주엔 앞으로 어떤 미래가 펼쳐질 것인가?
138억 년이라는 기나긴 시간을 하나의 통합된 이야기로 구성했던 세기의 인문학자,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미래 이야기가 펼쳐진다!
우주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138억 년의 장대한 역사를 하나의 통합된 이야기로 다룬 세계적인 화제작 《빅 히스토리》의 저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그가 이제 미래를 화두로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한다. 인간은 불확실한 미래를 두려워하면서도 어떤 일이 펼쳐질지 엿보고 싶어 하는 존재이다. 미래 예측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내일에 대비하기 위해 인류는 미래에 관한 이야기를 끊임없이 만들어왔다.
《빅 퓨처》는 호모 사피엔스부터 현재까지 인류가 미래를 어떻게 상상하고 또 대비해 왔는지를 추적한 미래에 관한 생각법의 역사이자, 50억 년 후의 먼 미래까지 묘사한 일종의 미래 지도라 할 수 있다. 미래에 대해 여러 철학자와 신학자, 인류학자와 과학자가 고심해낸 가설과 이론을 소개하고, 박테리아와 동식물 등 다른 생명체들의 정교한 미래 예측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아울러 향후 100년에서 수십억 년에 이르기까지 지구와 우주가 어떤 운명을 맞이할지 그 미래 시나리오를 다각도로 모색한다.
개인과 사회가 맞닥뜨릴 수도 있는 실존적 재앙을 예측하고 피하고자 인류는 미래에 관한 다양한 생각법을 고안했다. 점술, 주술, 신탁에서 도박, 확률, 종말론까지 인간과 자연을 이해하고 자신이 원하는 미래를 만들기 위한 도구와 원리들이 그 예이다. 모든 생명체는 각자의 유토피아를 꿈꾼다. 즉 나쁜 미래를 피하고 좋은 미래를 끌어당기기 위해 삶의 목적과 희망을 세상에 투사한다.
팬데믹의 공포와 AI의 가능성을 경험한 지금, 우리에겐 어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가 펼쳐질 것인가. 낙관적인 미래일까? 아니면 암울한 미래일까? 빌 게이츠는 이 책에 대해 “인류가 직면한 거대한 도전에 대한 대비책”이라는 찬사를 보냈다. 우리는 지나간 미래를 통해 기후변화, 성간 이동, 트랜스휴먼, 은하계의 종말, 최후의 블랙홀 등 다가올 미래를 어떻게 상상하고 대비할 것인가.
■ 지은이 : 데이비드 크리스천 (David Christian)
빅뱅에서부터 현재까지 138억 년에 이르는 우주의 역사를 지리학, 생물학, 우주론, 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통합해 연구하는 ‘빅 히스토리’ 분야의 창시자.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러시아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호주 매쿼리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9년부터 빅 히스토리 강의를 시작했으며, 2004년 출간한 《시간의 지도》로 세계사협회가 수여하는 최고도서상을 수상했다. 이후 대표작인 《빅 히스토리》와 《오리진 스토리》로 세계적인 석학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매쿼리대학교와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국제빅히스토리협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미국 버몬트대학교 초빙교수 외에 2009년부터 5년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석좌교수로 강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2011년 빌 게이츠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중고등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 개발을 주도했으며, 그의 TED 강연 ‘18분으로 배우는 세계사’(The history of our world in 18 minutes)는 ‘TED에서 꼭 봐야 할 11가지 강의’로 선정되며 누적 조회수 2,300만 뷰를 기록했다. 빅 히스토리가 불러일으킨 지적 파장은 세계 전역으로 퍼져나가 미국, 호주, 한국, 중국, 네덜란드, 스코틀랜드 등 전 세계 약 150개 학교에서 수업이 개설되었으며 TV 프로그램이 새롭게 만들어지기도 했다. 그는 세계경제포럼을 포함한 여러 국제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했으며 교육 플랫폼 코세라에서 진행한 온라인 강좌는 전 세계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 옮긴이 : 김동규
포스텍 신소재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여러 기업체에서 경영기획 업무를 수행했으며, 현재 엔터스코리아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1초의 탄생》, 《극한 갈등》, 《아날로그의 세계》, 《스토리의 기술》, 《비트코인, 초제국의 종말》, 《나의 뇌를 찾아서》, 《벤 버냉키의 21세기 통화 정책》 등이 있다.
여는 글
제1부 미래를 생각하는 법
제1장 미래란 무엇인가?
시간을 이해하는 두 가지 방식
결정론, 인과관계, 시간의 화살
제2장 미래를 예측하다
모든 것은 상대적이다
미래의 기원
미래를 예측하는 법
가상의 미래 지형도
제2부 미래를 관리하는 법
제3장 세포의 미래 관리
미생물의 사생활
대장균은 어떻게 미래를 계획할까?
제4장 동식물의 미래 관리
다세포 생물이 직면한 과제
협력, 거대생명체의 생존 비결
식물도 정보를 수집하고 확률에 몸을 맡긴다
동물의 신경계와 두뇌 작동법
제3부 미래를 대비하는 법
제5장 인류의 도구들
두뇌를 키운 인간
언어와 집단 학습이라는 혁명
시간의 변천사
기초 시대의 미래 사고
제6장 점술, 주술, 신탁
농경 시대의 미래 사고
권력층의 미래 사고
민중의 미래 사고
92개의 질문과 답변들
제7장 기술, 확률, 데이터
현대의 미래 사고
과학이 만드는 세상
미래학의 쓸모
제4부 미래를 상상하는 법
제8장 100년 후 지구
복잡계의 운명
1단계: 우리가 원하는 미래는 무엇인가?
2단계: 어떤 미래의 가능성이 가장 커 보이는가?
네 가지 미래 시나리오
3단계: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가?
제9장 인간의 미래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중간 미래
1,000년 뒤의 인류와 지구
네 가지 미래 시나리오
새로운 인류의 출현
제10장 우주의 미래
대서사시의 결말
행성과 은하계의 운명
우주와 시간의 끝
현대 과학의 시선으로 본 종말론
감사의 글
주요 용어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